가족 상담은 가족 구성원들이 함께 모여서 각자의 문제와 갈등, 불만 등을 공유하고 이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말합니다. 가족상담의 필요성에서 가족 상담은 가족 구성원 간의 대인관계, 심리적 문제, 갈등, 스트레스 등을 해결하고 개선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가족상담의 필요성

가족은 서로 다른 개성, 성격, 관심사, 생각 등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하나의 집단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가족 내부에서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해결하지 않으면 가족 구성원들 간의 대인관계가 악화되거나, 정서적인 문제가 심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나 몇 명의 문제가 전체적으로 가족 구성원 모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가족 전체의 건강한 발전과 성장을 위해서도 가족 상담은 매우 중요합니다.

가족상담의 필요성
가족상담의 필요성

인지행동적 가족치료

가족 상담의 치료방법 중 하나는 인지행동적 가족치료입니다. 이 이론의 기본개념과 적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시죠. 인지행동적 가족치료의 전제이자 기본 원리는 행동은 결과에 의해 유지된다는 것입니다.

행동주의 치료 기본요소

행동주의 치료의 기본 요소로서 작용하는 행동의 촉진을 뜻하는 강화, 행동을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는 처벌, 반응에 대해 아무런 강화도 일어나지 않을 때 행동이 없어지는 소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의 문제행동을 꾸짖거나 훈계하는 반응이 처벌과 같이 보여질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강화의 요소가 되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즉 훈계하거나 꾸짖지 않았을 때 소거가 즉 행동이 없어질 수도 있었던 일을 강화 즉 행동을 촉진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결과적으로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부모의 처벌로 인해 자녀의 문제행동이 유지되게 되는 것입니다.

인지주의 접근법

인지행동적 치료는 인지주의 접근법을 기본으로 하는데 인지주의 접근법은 사람들의 행동양식은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인지행동주의는 관계를 힘들게 만드는 준거 틀이 어린 시절에 가족과 함께 성장하면서 배운 결과라고 해석합니다.

인지적 왜곡의 예로서 자의적 추론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뒷받침하는 증거 없이 사건으로부터 추론해 내는 결론입니다. 예를 들어 남편의 입장에서 아내가 계속해서 늦게 들어오는 것을 아내가 더 이상 자신의 감정을 상관치 않는 것으로 결론 내리는 것과 같은 추론을 말합니다.

선택적 절취라는 개념은 다른 중요한 정보는 무시한 채 어떤 사소한 일만을 부각시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청소년의 부모는 자녀가 잘했던 것은 빼고 반항했던 것만을 기억하는 것입니다.

지나친 일반화

또한 지나친 일반화라는 개념은 어떤 한 사건을 일반적 패턴으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남편이 성관계를 갖기를 원할 때 부인이 한 달 중 두 번 거절하였는데, 남편은 아내가 더 이상 관계에 흥미가 없다고 결론 내리므로 지나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는 것입니다.

인지적 왜곡

그리고 인지적 왜곡의 예로서 과장과소가 있습니다. 사건의 중요성을 비현실적으로 확대하거나 축소해 버리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남편은 한 달에 두 번 슈퍼마켓에 들러 쇼핑하는 것으로 자신의 가사노동의 의무를 다한다고 생각하므로 과장이라는 오류를 개념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반면 아내는 ‘그는 아무것도 안 해’라고 생각하므로 과소라는 왜곡된 개념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생각읽기

또한 생각읽기라는 인지적 왜곡의 오류를 범하기도 하는데, 생각읽기 또는 마음읽기라는 개념은 다른 사람들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안다고 넘겨짚고 대화를 하려 하지 않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내가 남편이 자신의 말에 바로 응답하지 않는 것을 자신과 대화하는 것을 싫어한다고 넘겨짚는 것입니다.

가족상담의 필요성
가족상담의 필요성 생각읽기

심리 상담

0
Would love your thoughts, please comment.x
()
x